성균관대학교

성균관대학교

보도자료

성균관대 조한상 교수 연구팀, 신경교 흉터 조절을 통한 효과적인 뇌종양 치료법 발견 2023.08.14
게시글 내용
성균관대 조한상 교수 연구팀, 신경교 흉터 조절을 통한 효과적인 뇌종양 치료법 발견

□ 성균관대 조한상 교수 연구팀은(제1저자 Yen N. Diep) 기초과학연구원 이창준 단장, 연세대 윤미진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공격적인 뇌종양인 ‘교모 세포종’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였다고 14일 밝혔다.

□ ‘신경교 흉터’는 손상 부위를 보호하고 가두는 ‘교세포’라고 불리는 뇌 세포의 부상에 대한 반응으로 우리의 뇌가 상처에 반응하는 붕대와 같다. 뇌종양인 교모 세포종이 나타날 때 우리 몸은 종양 부위 주변을 보호할 수 있는 ‘신경교 흉터’를 만들게 된다.

□ 하지만 이는 유해한 종양 세포를 격리하는 ‘벽’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교모 세포종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항암제를 차단하는 장애 역할도 한다. 학계에서는 유해한 종양 세포는 격리하는 한편, 치료에 필요한 약물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해왔다.

□ 공동 연구팀은 교모 세포종을 둘러싼 신경교 흉터를 모방한 조립체 모델을 구축하여 종양이 신경교 세포와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흉터 형성에 기여하는 생물학적 기전을 밝혀냈다. 이 조립체 모델에서 신경교 세포가 교모 세포종 세포에서 방출하는 글루타메이트에 반응하여 흉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. 이러한 글루타메이트 유발 반응은 ‘벽’을 강화하여 종양 성장을 제한할 수 있지만 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침투 역시 차단하게 된다.

□ 연구팀은 교모 세포종 치료를 위한 약이 통과할 수 있는 ‘약한 벽’을 만들기 위해 글루타메이트-MAO-B 신호를 억제함으로써 신경교 흉터 장벽을 약화시켜 더 많은 치료 약물이 교모 세포종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단서를 밝혀냈다.

□ 성균관대 생명물리학과 조한상 교수는 “이번 연구결과는 교모 세포종 치료 전략을 재정의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발견”이라고 말했다.

□ 본 연구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,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하여 수행되었으며,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는 바이오메디컬 공학 분야 세계 상위 5%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 리서치(Biomaterials Research)에 7월 19자 게재되었다.

8월 14일 월요일자 보도자료 - 첨부파일 참조
이전글 양자생명물리과학원 김인기, 루크 리 교수 연구팀, 메타표면 칩 기반 세포 모니터링 기술 개발
다음글 성균관대 양자생명물리과학원, 난치성 질환 극복을 위한 뇌 아바타 시공간 통합 분석법 개발 추진
  • 상기 콘텐츠 담당
  • 홍보팀 ( 02-760-1145 )